교사 교육과정을 만드는데에 있어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것이 교수학습설계보다 평가이다. 이것을 백워드(Backward) 설계라고 하며, 이를 위해 성취기준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. 성취기준을 살핀 다음 내용요소와 기능요소를 추려내고 이를 토대로 대략적인 평가내용 및 방법을 구상하고 단원과 평가시기를 맵핑을 하면서 교사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다.
교육과정은 계속 개정되기 때문에 올해 1~2학년은 2022 개정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살펴보아야 한다. 참고로 2022 개정교육과정은 2024년은 초등 1~2학년, 2025학년은 초등3~4학년, 2026학년은 초등5~6학년이 적용이 된다.
하지만 바쁜 일상생활 속에서 교사 각자가 교육과정을 일 일히 백워드 방식으로 만드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교육부에서 미리 만들어놓은 성취기준-교과서 맵핑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. 다만 주어진 양식 내에서 활용하는 것보다는 교사가 먼저 성취기준을 갖고 노는 것이 교육과정의 큰 그림을 짜는데에 더 낫다고는 생각한다.
시준에 파는 교수평 카드를 활용할 수도 있지만 나의 경우 포스트잇에 성취기준을 적어가면서 비슷한 것끼리 묶는 활동을 학기초에 미리 해보는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. 이렇게 한번 가지고 놀면 일년동안 내가 가르쳐야 할 내용들이 어느정도 머리속에 들어오기 때문에 평가계획을 짜거나 수업을 설계할때 큰 도움이 되었다. 그리고 포스트잇의 특성상 붙였다 떼기가 쉬우므로 무리짓기를 할때 많은 도움이 되었다.
그리고 이후 교육부에서 미리 만들어 놓은 학년별 성취기준-교과서 맵핑 자료를 확인해보면서 평가계획을 작성하거나 교과수업을 설계를 해보면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. 아래 내용은 2015교육과정 기준이므로 초등1~2학년은 적용하기가 어렵다.